분류 전체보기202 [Python(파이썬)] 문자열안에 변수 넣기 파이썬에서 문자열에 변수 넣는 3가지 방법 1. % 사용 방법 - C에서 사용하는 방법처럼 사용 def solution(name, age): return '이름은 %s이고, 나이는 %d이다.' %(name, age) 2. format() 사용 방법 format()의 입력값에 맞춰서 {숫자}를 이용하기도 하고 {변수}도 사용 가능 # {숫자}를 사용한 방법 def solution(name, age): return '이름은 {0}이고, 나이는 {1}이다.'.format(name, age) # {문자}를 사용한 방법 def solution(name, age): return '이름은 {a}이고, 나이는 {b}이다.'.format(a = name, b = age) 3. f-string 사용 방법 def solut.. 2021. 6. 18. [프로그래머스/Level1]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문제 설명 String형 배열 seoul의 element중 "Kim"의 위치 x를 찾아, "김서방은 x에 있다"는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seoul에 "Kim"은 오직 한 번만 나타나며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제한 사항 seoul은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seoul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Kim"은 반드시 seoul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 seoul return ["Jane", "Kim"] "김서방은 1에 있다" 나의 풀이 [Python(파이썬)] def solution(seoul): return f'김서방은 {seoul.index("Kim")}에 있다' 학습한 내용 문자열에 변수 넣기 .. 2021. 6. 18. [프로그래머스/Level1]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문제 설명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 string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각 문자열의 인덱스 n번째 글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s가 ["sun", "bed", "car"]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의 문자 "u", "e", "a"로 strings를 정렬합니다. 제한 조건 strings는 길이 1 이상, 50이하인 배열입니다. strings의 원소는 소문자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trings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100이하인 문자열입니다. 모든 strings의 원소의 길이는 n보다 큽니다. 인덱스 1의 문자가 같은 문자열이 여럿 일 경우, 사전순으로 앞선 문자열이 앞쪽에 위치합니다. 입출력 예 strings n return ["sun", "b.. 2021. 6. 17. [Python(파이썬)] sort와 sorted 차이 sort와 sorted차이 sort() .sort(key = , reverse = True|False) - 리스트를 정렬해주는 기능을 하는 함수, 반환값이 None이다. - 정렬된 값을 리턴하지 않는다. - 원본의 내용을 정렬한 형태로 바꿔준다. - 리스트만 사용가능하다. -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sorted보다 빠르다. sort() 사용 strings = ["sun", "bed", "car"] n = 1 def solution(strings, n): return strings.sort(key=lambda x: x[n]) print(solution(strings, n)) # 출력 # 'None' # sort() 사용 >>> type(strings.sort(key=lambda x: x[n]).. 2021. 6. 17. [Python(파이썬)] 람다 함수(lambda) ◎ def 함수 - 똑같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작업할 때 사용 def test_func(b): a = 4 return a + b >>> test_func(3) # 출력 # 7 ◎ 람다 함수(익명 함수) - 사용하고 버리는 일시적인 함수 - 코드가 간결하다 - 메모리 절약 가능 람다 표현식 자체를 호출 - 정의와 동시에 사용 (재사용 불가) a = 4 (lambda x: x+a)(3) #출력 # 7 람다 표현식 안에서 변수 생성 불가하고, 위와 같이 바깥에 있는 변수는 사용가능 하다. lambda x: x + a 를 실행 한 경우에는 익명 함수이기 때문에 함수를 호출 할 수 없어 아래와 같이 test_ld라는 변수에 할당해 줄수도 있다. 변수에 할당한 람다 함수 (재사용 가능) # 매개변수 2개 사용 tes.. 2021. 6. 17. [프로그래머스/Level1]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문제 설명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세요. 제한사항 arr은 자연수를 담은 배열입니다. 정수 i, j에 대해 i ≠ j 이면 arr[i] ≠ arr[j] 입니다. divisor는 자연수입니다. array는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입출력 예 arr divisor return [5, 9, 7, 10] 5 [5, 10] [2, 36, 1, 3] 1 [1, 2, 3, 36] [3,2,6] 10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1 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 따라.. 2021. 6. 17. [프로그래머스/Level1] 약수의 개수와 덧셈 문제 설명 두 정수 left와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left부터 right까지의 모든 수들 중에서,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 수는 더하고,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뺀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left ≤ right ≤ 1,000 입출력 예 left right result 13 17 43 24 27 5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다음 표는 13부터 1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 수 약수 약수의 개수 13 1, 13 2 14 1, 2, 7, 14 4 15 1, 3, 5, 15 4 16 1, 2, 4, 8, 16 5 17 1, 17 2 따라서, 13 + 14 + 15 - 16 + 17 = 43을 return 해야 합니.. 2021. 6. 17. [프로그래머스/Level1] 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answer "pPoooyY" true "Pyy" fals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p'의 개수 2개, 'y'의 개수 2개로 같으므로 true를 return 합.. 2021. 6. 16. [프로그래머스/Level1] 같은 숫자는 싫어 문제 설명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 을 return 합니다. arr = [4, 4, 4, 3, 3] 이면 [4, 3] 을 return 합니다.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 2021. 6. 16. [프로그래머스/Level1] [1차]다트게임 (2018 카카오 블라인드) 문제 설명 카카오톡에 뜬 네 번째 별! 심심할 땐? 카카오톡 게임별~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 2021. 6. 16.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다음